나이스게임TV 리그 오브 레전드 배틀 스프링 201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이스게임TV 리그 오브 레전드 배틀 스프링 2014는 빅파일이 후원한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이다. 16강, 12강, 플레이오프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16강에는 LJL 윈터 시즌 우승팀이 참여했으나 서킷 포인트는 얻을 수 없었다. 플레이오프는 8강, 4강, 3·4위전, 결승전으로 구성되었으며, 결승전에서 CJ 엔투스 Frost가 나진 Black Sword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리그는 빅파일이 후원한다.[1] 또한, 리그 오브 레전드 재팬 리그(LJL) 윈터 시즌 우승팀이 16강부터 참여하지만, 서킷 포인트는 획득할 수 없다.[2]
16강은 조별 리그로 진행되었으며, A, B, C, D조로 나뉘어 각 조당 4팀씩 경기를 치렀다. A조에서는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 B조에서는 Team OLYMPUS, C조에서는 Mook Secret, D조에서는 Virtual Throne Gaming #2 (VTG #2)가 각각 12강에 진출했다.
2. 특이 사항
3. 대회 진행
12강에서는 챔피언스 16강 조 3위 및 4위 팀들과 NLB 16강 통과 팀들이 시드를 배정받아 경기를 치렀다. 프라임 Optimus, 제닉스 Storm, SK텔레콤 T1 S, 나진 Black Sword, 인크레더블 미라클 #1이 8강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는 챔피언스 8강 탈락 팀과 NLB 12강 통과 팀이 맞붙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는 SK텔레콤 T1 K, CJ 엔투스 Frost, 나진 Black Sword, KT 롤스터 Bullets가 승리했다. 4강전에서는 CJ 엔투스 Frost와 나진 Black Sword가 각각 SK텔레콤 T1 K와 KT 롤스터 Bullets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3·4위전에서는 SK텔레콤 T1 K가 KT 롤스터 불리츠를 상대로 3:0으로 승리했다.
결승전에서는 CJ 엔투스 Frost가 나진 Black Sword를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3. 1. 16강
16강은 조별 리그로 진행되었다. 각 조는 4팀으로 구성되었으며, A, B, C, D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조 팀1 팀2 팀3 팀4 A조 TOP[1]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 Mook Comet OX B조 Let it go God-sin 평촌고 Team OLYMPUS C조 인벤져스 빅파일 아모르 Athene Skype Mook Secret D조 빅파일 미라클 ARENA[2] Rascal Jester Virtual Throne Gaming #2
16강 각 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조에서는 진에어 그린윙스 스텔스가, B조에서는 Team OLYMPUS가, C조에서는 Mook Secret이, D조에서는 Virtual Throne Gaming #2 (VTG #2)가 각각 12강에 진출했다.
3. 1. 1. A조
3. 1. 2. B조
팀1 | 팀2 | 결과 |
---|---|---|
Let it go | God-Sin | 0:2 |
평촌고 | Team OLYMPUS | 0:2 |
God-Sin | Team OLYMPUS | 0:2 |
- Team OLYMPUS가 12강에 진출하였다.
3. 1. 3. C조
조 | 팀1 | 팀2 | 팀3 | 팀4 |
---|---|---|---|---|
C조 | 인벤져스 | 빅파일 아모르 | Athene Skype | Mook Secret |
3. 1. 4. D조
빅파일 미라클, ARENA[2], Rascal Jester, Virtual Throne Gaming #2가 D조에 편성되었다.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ARENA|0 |
0|VTG #2|2 |
1|VTG #2|2 |
최종 결과, VTG #2가 12강에 진출하였다.
3. 2. 12강
시드 | 팀 |
---|---|
챔피언스 16강 조 3위 | 인크레더블 미라클 #1, 나진 Black Sword, 인크레더블 미라클 #2, SK텔레콤 T1 S |
챔피언스 16강 조 4위 | 프라임 Optimus, 진에어 그린윙스 Falcons, Midas FIO, 제닉스 Storm, 인크레더블 미라클 #1 |
NLB 16강 통과팀 | 진에어 그린윙스 Stealths, Team OLYMPUS, Mook Secret, Virtual Throne Gaming #2 |
12강 1경기 | 12강 2경기 | ||
---|---|---|---|
프라임 Optimus 2 : 0 Mook Secret | 제닉스 Storm 2 : 0 VTG #2 | ||
12강 3경기 | 12강 4경기 | ||
IM #2 0 : 2 프라임 Optimus | SK텔레콤 T1 S 2 : 0 제닉스 Storm | ||
8강 진출팀 | 8강 진출팀 | ||
프라임 Optimus | SK텔레콤 T1 S |
12강 5경기 | 12강 6경기 | ||
---|---|---|---|
Midas FIO 0 : 2 진에어 그린윙스 Stealths | Team OLYMPUS 0 : 2 진에어 그린윙스 Falcons | ||
12강 7경기 | 12강 8경기 | ||
나진 Black Sword 2 : 0 진에어 그린윙스 Stealths | 인크레더블 미라클 #1 2 : 0 진에어 그린윙스 Falcons | ||
8강 진출팀 | 8강 진출팀 | ||
나진 Black Sword | 인크레더블 미라클 #1 |
3. 3.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는 챔피언스 8강에서 탈락한 팀들과 NLB 12강을 통과한 팀들이 시드를 배정받아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챔피언스 8강 탈락 팀은 SK텔레콤 T1 K, CJ 엔투스 Frost, KT 롤스터 Arrows, KT 롤스터 Bullets였고, NLB 12강 통과 팀은 프라임 Optimus, SK텔레콤 T1 S, 나진 Black Sword, 인크레더블 미라클 #1이었다.8강전, 4강전, 결승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 | 팀 | 결과 | 팀 |
---|---|---|---|
8강전 | SK텔레콤 T1 K | 2 : 0 | 프라임 Optimus |
CJ 엔투스 Frost | 2 : 0 | SK텔레콤 T1 S | |
KT 롤스터 Arrows | 1 : 2 | 나진 Black Sword | |
KT 롤스터 Bullets | 2 : 0 | 인크레더블 미라클 #1 | |
4강전 | SK텔레콤 T1 K | 1 : 3 | CJ 엔투스 Frost |
나진 Black Sword | 3 : 1 | KT 롤스터 Bullets | |
결승전 | CJ 엔투스 Frost | 3 : 1 | 나진 Black Sword |
3. 3. 1. 8강전
8강전은 챔피언스 8강 탈락 팀과 NLB 12강 통과 팀이 맞붙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대진 | 팀 | 승 | 팀 | 패 | 일정 |
---|---|---|---|---|---|
Group A | SK텔레콤 T1 K | 2 | 프라임 Optimus | 0 | 2014년 4월 22일 |
Group B | CJ 엔투스 Frost | 2 | SK텔레콤 T1 S | 0 | 2014년 4월 22일 |
Group C | KT 롤스터 Arrows | 1 | 나진 Black Sword | 2 | 2014년 4월 26일 |
Group D | KT 롤스터 Bullets | 2 | 인크레더블 미라클 #1 | 0 | 2014년 4월 26일 |
3. 3. 2. 4강전
4강전에서는 챔피언스 8강 탈락팀 중 시드를 배정받은 SK텔레콤 T1 K, CJ 엔투스 Frost, KT 롤스터 Bullets와 NLB 12강을 통과한 나진 Black Sword가 맞붙었다.대진표 | 일정 | |||
---|---|---|---|---|
SK텔레콤 T1 K | 1 | CJ 엔투스 Frost | 3 | rowspan="2" | |
KT 롤스터 Bullets | 1 | 나진 Black Sword | 3 |
3. 3. 3. 3·4위전
와 는 챔피언스 8강에서 탈락하여 NLB 3, 4위전으로 진출했다.대 진 표 | 일 정 | |||
---|---|---|---|---|
SK텔레콤 T1 K | 3 | KT 롤스터 불리츠 | 0 | style="text-align: center;" | |
3. 3. 4. 결승전
CJ영어 엔투스 Frost가 나진 Black Sword를 상대로 결승전에서 3:1로 승리하였다.[1] 경기는 2014년 5월 17일에 진행되었다.[1]
참조
[1]
문서
에일리언웨어 TOP이 에일리언웨어 스폰서 종료로 팀명 변경
[2]
문서
에일리언웨어 ARENA가 에일리언웨어 스폰서 종료로 팀명 변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